[Poor Economics Series #5] 가난한 아이들이 학교에 가지않는 이유 : 보편적 초등교육을 위한 방법론
‘국제사회의 원조를 받는 국가에서 원조를 지원하는 국가’라는 슬로건은 다소 진부적이게 들리기는 하지만 이러한 경험과 역사는 국제개발을 공부하는 우리에게 훌륭한 교훈이 될 수 있을것이라는 생각이...
[Poor Economics Series #4]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하여 : 조건부 현금이전(CCT)
조건부 현금이전(CCT) 프로그램이란?
아마타야 센(1985)은 그의 저서 ‘‘자유로서의 개발”에서 빈곤은 단순히 숫자로 빈곤선 이하를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라, ‘능력(capabilities)’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가 박탈되고 자유가...
‘Poor Economics’의 이해를 위한 RCT(Randomization Controlled Trials)와 영향평가(Impact evaluation) 배워보기
Seoul+ACUMEN 챕터의 첫 번째 세미나, Open Table: POOR ECONOMICS 가 5월 30일 금요일 저녁 7시, Impact HUB Seoul 에서 진행됩니다. Open Table 의 목적은...
변화의 중심에 내가 아닌 그들을 – 참여형 사정, 모니터링 및 평가(PAME)알아보기
자유로서의 개발
‘개발’이란, 또 ‘삶의 질’의 향상이란 무엇을 의미할까요? 국제개발 현장이나 사회복지 현장에 뜻을 품고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생각해보아야 할 근본적인 질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과거와는...
변화를 꿈꾼다면 펜을 들어라 : ‘변화이론(Theory Of Change)’ 알아보기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을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이 속담은 한 아이가 잘 자라나기 위해서는 가족 뿐만 아니라, 아이와 한 마을에...
[Poor Economics Series #3] 가난한 사람들의 저축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 Saving brick by...
우리 부모님 세대에 농촌에서는, 소를 팔아서 자식을 대학에 보낸다는 말이 매우 흔했습니다. 소는 농사일에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산이면서 동시에 그 소를 판 돈을...
[Poor Economics Series #2] 건강을 증진시키는 손쉬운 방법에 대하여
‘Poor Economics’ 와 관련하여 이번에 저희가 함께 나누어 보고 싶은 내용은 보건(health care) 이라는 주제입니다. MDG와 연관된 건강 지표들은 지난 1990년이래 놀랄만큼 진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Poor Economics Series #1] 빈곤을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서 : 「Poor Economics」
개인적으로 저는 오랫동안 가난 혹은 빈곤문제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습니다. 이제 한국에서는 절대빈곤보다 상대적 불평등과 박탈감이 더 큰 사회문제가 되었지만, 전 세계적으로는 아직까지 절대빈곤과 기아에...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에도 공식이 있다? :사례로 알아보는 PCM 분석
기고자 프로필
김윤정
리치 이니셔티브, garukim@gmail.com
김윤정 대표는 서울대학교에서 역사교육, 통합사회학사 학위를, 런던대학교 교육연구대학원에서 교육경제개발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다년간 국제사면위원회(Amnesty International), 세이브더칠드런을 통해 국제개발...
임팩트 회계, 글로벌 이코노미의 미래를 그리다
기고자 프로필
사라 올센(Sara Olsen)
SVT Group, Founder & CEO, sara@svtgroup.net
사라 올센은 사회적 가치 측정/관리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성과 권위를 인정 받는 컨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