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금융으로서 임팩트 투자의 기회와 가능성

기고자 프로필 김정태 MYSC, Vice President, jtkim@mysc.co.kr 김정태 이사는 헐트국제경영대학원에서 사회적기업가정신을 공부했고 현재는 사회혁신투자컨설팅 MYSC에 이사로 있다. 유엔사무국 산하기관인 유엔거버넌스센터에서 근무했고 «소외된 90%를...

임팩트 비즈니스를 향한 오바마 정부의 첫걸음, National Impact Initiative

“세상은 고통으로 가득하지만, 한편으로는 그것을 이겨내는 일들로도 가득 차 있다(Although the world is full of suffering, it is also full of overcoming it).” 눈이 보이지...

흐르는 물처럼, 낮은 곳을 향하여 : 한국사회투자 이종수 대표

Prologue 상선약수(上善若水),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올해 자리를 잡은 한국사회투자 이종수 대표의 사무실에 들어섰을 때 가장 먼저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액자에 크게 걸린 저 네...

소셜벤처를 키우는 특수 작업선 다섯 척 : 국내 소셜벤처 엑셀러레이팅 조직 인터뷰

창업의 길은 멀고도 험하다. 그 험함은 위험이라는 단어로도 과하지 않다. 하지만 창업자들 대부분은 불안함을 감수하고 그 뒤에 따라오는 성공의 기회를 포착하며 창업을 감행한다. 특히,...

임팩트 투자 산업의 발전을 묻다 : The Impact Investor Survey

기고자 프로필 Yasemin Saltuk J.P. Morgan, jasemin.x.saltuk@jpmorgan.com 동 아티클은 세계 임팩트 투자 시장의 현황 및 전망과 임팩트 투자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태계 관점으로 분석하는 임팩트 투자 섹터

기고자 프로필 리차드 빅스(Richard Biggs) D3 Jubilee Managing Director rabiggs@gmail.com 리차드 빅스는 임팩트 투자 분야 투자자문기업인 D3 Jubilee의 Managing Director로 있다. 그는 투자...

Building Money vs Buying Money : 비영리, 기부와 투자 간의 무너지는 경계

펀드레이징, 비영리 조직의 피할 수 없는 과제 비영리 조직(Non-Profit Organization), 글자 그대로 영리(Profit)가 아닌 사회적인 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을 뜻한다. 비영리조직이 경제적인 이윤을 추구하는데...

임팩트 회계, 글로벌 이코노미의 미래를 그리다

기고자 프로필 사라 올센(Sara Olsen) SVT Group, Founder & CEO, sara@svtgroup.net 사라 올센은 사회적 가치 측정/관리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성과 권위를 인정 받는 컨설팅...

해외 평가모델 사례를 통해 바라본 임팩트 평가의 현황과 과제

기고자 프로필 강신일 서스틴베스트 연구위원 shinil.kang@sustinvest.com 강신일 연구위원은 고려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였다. 미래에셋증권에서 근무하였으며, 현재는 서스틴베스트에서 사회책임투자펀드 운용을 위한 500개 상장기업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

재무적 가치를 넘어선 새로운 가치를 측정하다 : 서울에서 다시 만난 SVT Group의 Sara Olsen과...

국내 최대의 지식 컨퍼런스, 세계지식포럼의 반가운 손님 Sara Olsen! 매일경제에서 주관하는 제13회 세계지식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연사 중 임팩트스퀘어에게 유난히 반가운 사람이 있었습니다. 바로...